전체 글43 [Git]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하기 안녕하세요. 요즘 날씨가 무척 덥습니다. 오늘은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하는 정말 기초적인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려고 합니다. 저는 이번이 첫 기여인데요, 항상 하고싶다는 마음은 있었는데 직접 기여하려고 하니까 방법을 잘 모르겠더라구요. 그래서 모든게 정답은 아니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하는 마음으로 가볍게 작성해봅니다. 저는 이번에 Recoil 라이브러리의 한국어 공식 문서 오타를 수정하는 작업을 하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Github을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기여하는 방식은 프로젝트마다 달라요 가장 우선적으로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하는 방식은 정답이 없습니다. 각 프로젝트별로 요구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항상 Readme 문서를 정독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별 거 아니.. 2022. 8. 5. [HTML] Image Lazy load가 무엇이고, 왜 필요할까 안녕하세요. 굉장히 오랜만에 글을 쓰는 것 같습니다. 대학교에 합격하게 돼서 눈코 뜰 새 없이 직대딩 생활을 하다가, 이제서야 1학기 종강을 해서 조금 여유가 생겼습니다. 최근에 회사에서 최적화 작업을 진행했었습니다. 완전히 각 잡고 최적화를 진행한 적이 거의 처음이라, 많은 내용을 알아보면서 진행했는데요. 전부터 Lazy image load는 '최적화를 한다면, 이 작업은 꼭 해야겠다' 싶었던 내용이었던지라 가볍게 다뤄볼게요. Image lazy load 이 작업은 말 그대로 이미지가 사용자 화면에 실질적으로 보이게 될 때 로드하는 기법을 말합니다. 기본적으로 웹 페이지는 로드와 동시에 포함된 이미지들도 함께 로드하게 됩니다. 사실 이건 단순히 생각해 봐도 좋지 않죠. 그나마 적을 땐 괜찮지만, 만약 .. 2022. 7. 5. [Server] Protocol과 IP, IPS, DNS 및 관련 개념 정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서버 작업을 하기 위한 기본적인 정보 중 하나인 Protocol과 IP, IPS 및 한 번쯤은 들어봤을 TCP/IP 등에 대한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rotocol과 IP Protocol 먼저 프로토콜이란 무엇일까요? 이 포스팅을 읽고 계시는 분이라면 한번쯤은 들어봤으리라 생각되는 단어이고, 그만큼 웹/서버 모두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이해해야 하는 개념인데요. 프로토콜이란 컴퓨터 내/외부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교환 방식을 정의하는 규칙 체계의 집합을 말합니다. 어렵지 않도록 조금 풀어서 설명하자면, 데이터를 요청하고 응답하는 과정에서 서로 간의 정해진 형식으로만 통신할 수 있도록 정해둔 규칙을 말하는 것입니다. 특정 방식으로만 데이터를 요청할테니, 응답 시에도 특정 방식.. 2021. 10. 19. [Server] HTTP/HTTPS와 응답 상태별 코드의 간단한 개념 이번 포스팅에서는 HTTPS와 HTTP의 개념에 대해 정말 간단히 용어 정리와 개념 정리 다룹니다. 이전 포스팅과 마찬가지로 간단히 훑고 넘어가시는 용으로 읽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HTTP & HTTPS란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의 약어입니다. 클라이언트 ↔ 서버간의 통신 규약을 말합니다. HTTPS? HTTP Secure 의 약어입니다. HTTP와 같으나 보안이 강화된 규약을 말합니다. 클라이언트? 서버에 요청을 보내는 요청자를 말합니다. 주고 받을 수 있는 데이터 형식 HTML Image Video Audio Text Method 자세한 내용은 MDN 문서를 참조하시면 좋습니다. GET HEAD POST PUT DELETE CONNECT OPTIONS TRA.. 2021. 6. 25. [Server] REST API의 간단한 개념 이번 포스팅에서는 REST 아키텍처의 개념에 대해 간단하게 개념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단순한 개념 정리이므로 개념에 대해 훑는 정도로만 봐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REST란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의 약어입니다.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한 형식이고, 네트워크 아키텍처 원리의 모음이라고 정의합니다. HTTP 통신에서 특정 자원에 대한 요청을 Resource와 Method로 표현하여 특정한 형태로 응답하는 것을 말합니다. 용어에 대한 개념은 아래에서 간단하게 짚어보겠습니다. 이외의 다른 아키텍처는 대표적으로 SOAP 이 있습니다. 특정 자원에 대한 요청의 종류 CRUD 액션 Create Read Update Delete Resource 클라이언트가 요청할 수 있는 Unique.. 2021. 6. 24. [React.js] Styled Components 간단 정리 [Basic] 이번 포스팅에서는 styled-components 라이브러리의 기본적인 문법과 간단한 사용법에 대해 다루고자 합니다. 공식 문서의 글을 좀 더 단순하고 쉽게 표현한 글 입니다. 좀 더 심화된 내용은 공식 문서를 참조하시면 좋습니다. [공식 문서] (본 글은 이전에 업로드 되었던 내용을 좀 더 보기좋게 다듬어 재 업로드 한 글입니다.) className의 명시적인 주입 없이 컴포넌트를 만들고 스타일을 적용하기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styles from './styles.css'; /* ... */ Default CSS 기본적인 CSS를 이용한다고 가정했을때, 위와 같이 사용하려는 스타일을 classname을 사용해서 일일이 지정해줘야 합니다. 그닥 나쁜 경우는 아니지.. 2021. 6. 24. 이전 1 ···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