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REST API
- lazy-load
- k번째수
- IP주소
- 퀵정렬
- git autocrlf
- HTTPS
- input 안보임
- LF
- CRLF
- input type password
- git 명령어
- git
- expected linebreaks to be 'lf' but found 'crlf' linebreak-style
- eslint-prettier
- 가장큰수
- 참조타입
- JadenCase
- CRA
- prettier
- 프로그래머스
- expected linebreaks to be 'crlf' but found 'lf' linebreak-style
- react
- password 안보임
- 개행문자
- 응답코드
- eslint
- git 개행문자
- 원시값
- vscode
Archives
- Today
- Total
우파루파의 개발 기록
[백준] 17299: 오등큰수 (+ 오큰수 문제에 대한 잡담) 본문
안녕하세요. 이번 문제는 백준의 17299 오등큰수 문제입니다.
골드 3단계의 문제입니다.
이 문제를 풀기 이전에 17298의 오큰수를 먼저 풀었습니다.
오큰수를 푸는 방법을 거의 활용해서 풀었습니다.
오큰수 같은 경우 첫 골드 문제인지라 어렵기도 했고 시간 복잡도에서 계속 실패가 나왔습니다. 그래서 문제의 풀이를 찾아보며 문제를 풀었는데요.
찾아보고 나서 느낀건.. 정답 코드가 어려운 것은 아니었지만 그 알고리즘(스택 활용)을 문제만 보고 어떻게 도출해낼 것인지를 판단하는 건 쉽지 않더라구요. (많이 풀어보는 것이 능사겠지만요)
역시 문제를 잘 읽어보고, 문제에서 요구하는 자료구조를 잘 읽어낼 수 있는 게 중요한 부분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입력 데이터들의 크기와 시간 제한을 보고, 통과할 수 있는 대략적인 시간 복잡도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할 것 같습니다.
오큰수-오등큰수 모두 아래와 같은 특징이 있는데요.
- 이미 사용된 이전 수들은 뒤 수에 의미를 주지 않고 (카운트를 셀 때 제외..)
- 앞에서부터 오큰수를 찾아낸다고 했을때, 만약 오큰수를 찾아내지 못하고 다음 수로 넘어가게 되면 오큰수를 찾는 것은 뒤 수 부터라는 것입니다. (먼저 들어간 것이 나중에 나옴)
이러한 요소들이 stack을 사용한다는 힌트가 될 것 같습니다. 아직 많이 어렵습니다.
알고리즘 캔버스
아이디어
브레인스토밍
- 오등큰수
- NGF(i)
- 수열의 등장 횟수가 나보다 크고, 오른쪽에 존재하며, 그중 가장 왼쪽에 있는 수
- 이건 이전 데이터들도 누적이 되어야 하는 문제. (stack만으로는 풀수 없음. 다른 내용도 활용 필요.)
- 일단 스택을 사용해야 함.
아이디어
- 시간 복잡도를 n log n이나 n 만큼으로 만들어야 함 (아마 n)
- 객체를 만들어서 {1: 0, 2: 0 } 등으로 등장 횟수를 저장할 수 있게 한다.
- 그리고 등장 횟수를 for문으로 구한다.
- 오큰수를 구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구한다.
- (result 배열을 -1로 초기화) 오큰수가 없다는 전제로 진행한다.
- stack에 아직 오등큰수를 못구한 수가 있다면
- stack에 마지막 요소의 count가 현재 요소의 count보다 작다면,
- 현재 스택의 마지막 요소의 오등큰수는 내가 된다.
- stack에 마지막 요소의 count가 현재 요소의 count보다 작다면,
- 그리고 현재 요소의 인덱스를 스택에 넣는다.
시간 복잡도 (Big-O)
- O(N)
Code
import sys
n=int(sys.stdin.readline().rstrip())
a=list(map(int, sys.stdin.readline().rstrip().split()))
count = {}
stack = [0]
result = [-1] * n
for i in range(n):
if a[i] in count:
count[a[i]] += 1
else:
count[a[i]] = 1
for i in range(1,n):
while stack and count[a[stack[-1]]] < count[a[i]]:
result[stack.pop()] = a[i]
stack.append(i)
print(*result)
'development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918: 후위 표기식 (0) | 2024.06.20 |
---|---|
[백준] 1935: 후위 표기식 2 (1) | 2024.06.18 |
[백준] 2750: 수 정렬하기 (삽입 정렬 ver) (0) | 2024.04.24 |
[백준] 2002: 추월 (0) | 2024.04.12 |
[프로그래머스] 60057: 2020 KAKAO BLIND RECRUITMENT > 문자열 압축 (0) | 2024.04.05 |